프로그래머스 [ 타겟 넘버 / Lv2 ] - JAVA

2025. 4. 11. 13:20·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

문제 링크
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3165

 

프로그래머스

SW개발자를 위한 평가, 교육,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

programmers.co.kr

 

문제 설명


문제 설명

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.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. 예를 들어 [1, 1, 1, 1, 1]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.

-1+1+1+1+1 = 3
+1-1+1+1+1 = 3
+1+1-1+1+1 = 3
+1+1+1-1+1 = 3
+1+1+1+1-1 = 3

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,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제한사항


  •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입니다.
  • 각 숫자는 1 이상 5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타겟 넘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
 

입출력 예
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
입출력 예 #2
+4+1-2+1 = 4 
+4-1+2-1 = 4​

총 2가지 방법이 있으므로, 2를 return 합니다.

 

코드


public class 타겟_넘버 {
    private static int answer = 0;
    public int solution(int[] numbers, int target) {
        dfs(numbers, 0, target, 0);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    private static void dfs(int[] numbers, int depth, int target, int calc) {
        if (depth == numbers.length) {
            if(calc == target) {
                answer++;
            }
            return;
        }
        dfs(numbers, depth+1, target, calc + numbers[depth]);
        dfs(numbers, depth+1, target, calc - numbers[depth]);
    }
}

 

알고리즘 설명


해당 문제는 숫자들을 더하거나 빼면서 나올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탐색하는 방식입니다. DFS를 이용해 각 숫자에 대해 더하거나 빼는 선택을 하고, 마지막 숫자까지 계산한 결과가 목표값과 같다면 answer를 1 증가시킵니다. 모든 조합을 탐색하면서, 계산 결과가 목표값이랑 같으면 정답으로 셉니다. 이런 과정을 DFS로 반복해서, 가능한 경우의 수를 전부 확인하고 그 개수를 반환합니다.

 

코드 해석


모든 노드를 순회하면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가 있으면 새 네트워크 시작 -> dfs 탐색 시작

노드에서 DFS를 통해 연결된 모든 컴퓨터를 방문 처리 → 하나의 네트워크로 취급
DFS가 끝날 때마다 네트워크 개수 (answer)를 증가시킴 -> answer++

 

숫자 배열 numbers의 각 요소에 대해 + 또는 - 연산을 선택하며 가능한 모든 조합을 탐색합니다. 이를 위해 dfs(numbers, depth + 1, target, calc + numbers[depth]) 와 같이 현재 값을 더하거나, dfs(numbers, depth + 1, target, calc - numbers[depth])처럼 빼는 방식으로 재귀 호출을 반복합니다.

이때 depth는 현재 몇 번째 숫자인지를 나타내며, calc는 지금까지 계산된 합입니다.

 

배열의 끝에 도달했는지는 if (depth == numbers.length) 조건으로 확인하며, 이 시점에서 calc == target일 경우 answer++를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셉니다.

 

모든 분기를 명시적으로 나눠서 호출하고 있기 때문에, 값을 이전 상태로 복원할 필요가 없습니다.
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프로그래머스 [ 게임 맵 최단거리 / Lv3 ] - JAVA  (0) 2025.04.11
프로그래머스 [ 모음사전 / Lv2 ] - JAVA  (0) 2025.04.05
프로그래머스 [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/ Lv2 ] - JAVA  (0) 2025.04.05
프로그래머스 [ 피로도 / Lv2 ] - JAVA  (0) 2025.03.27
프로그래머스 [ 카펫 / Lv2 ] - JAVA  (0) 2025.03.27
'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프로그래머스 [ 게임 맵 최단거리 / Lv3 ] - JAVA
  • 프로그래머스 [ 모음사전 / Lv2 ] - JAVA
  • 프로그래머스 [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/ Lv2 ] - JAVA
  • 프로그래머스 [ 피로도 / Lv2 ] - JAVA
BIS's tech Blog
BIS's tech Blog
Welcome to Kanghyun's tech blog :)
  • BIS's tech Blog
    벼익숙의 기술 블로그
    BIS's tech Blog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63) N
      • 알고리즘 (49) N
        • 백준 (40) N
  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9)
      • CS 스터디 (14)
        • CS - JAVA (11)
        • CS - DB (3)
      • Spring (0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  • GitHub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  재귀
    알고리즘 고득점 kit
    브루트포스
    자료구조
    DFS
    java
    Baekjoon
    기술질문
    dp
    백준
    완전탐색
    동적 계획
    프로그래머스
    너비 우선 탐색
    BFS
    bottom-up
    깊이 우선 탐색
    Top-Down
    Lv2
    CS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3
BIS's tech Blog
프로그래머스 [ 타겟 넘버 / Lv2 ] - JAVA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